맨위로가기

랜드 앤 프리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랜드 앤 프리덤'은 1936년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영국 공산당원 데이비드 카가 스페인으로 건너가 마르크스주의 통일 노동자당(POUM) 민병대에 합류하면서 겪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그린 영화이다. 영화는 데이비드의 회상을 통해 스페인 내전의 복잡한 이념 갈등과 스탈린주의의 폐해를 보여주며, 켄 로치 감독의 연출과 배우들의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지만, 스탈린주의 비판에 대한 균형성 논란과 정치적 편향성 지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전쟁 영화 - 그린 존 (영화)
    《그린 존》은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대량살상무기(WMD)를 찾는 임무를 수행하는 미 육군 준위 로이 밀러와 그의 팀이 CIA 요원, 기자와 협력하여 정치적 음모와 정부의 거짓말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스페인의 전쟁 영화 - 알라트리스테
    아르투로 페레스-레베르테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06년 스페인 영화 알라트리스테는 17세기 스페인 제국을 배경으로 용병 대장 디에고 알라트리스테의 삶과 모험, 비극적인 로맨스를 그린 시대극이다.
  • 스페인의 아나키즘 - 바르셀로나 5월 사건
    1937년 5월 스페인 내전 중 바르셀로나에서 발생한 바르셀로나 5월 사건은 공산주의 세력과 무정부주의 및 좌파 세력 간의 이념 갈등과 권력 다툼이 격화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도시 전역으로 확산되어 다수의 사상자를 낳고 공화파 내부 분열을 심화시켜 스페인 내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스페인의 아나키즘 - 수탈적 아나키즘
    수탈적 아나키즘은 아나키스트들이 정치적 목표 달성을 위해 강도, 절도와 같은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것을 의미하며, 스페인, 아르헨티나 등 각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고 그 평가가 논쟁적인 주제이다.
  • 켄 로치 감독 영화 - 자유로운 세계
    켄 로치 감독의 2007년 영화 《자유로운 세계》는 싱글맘 앤지가 불법 이민자 관련 직업 소개소를 운영하며 겪는 윤리적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키어스턴 웨어링이 주연을 맡아 BAFTA 텔레비전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 켄 로치 감독 영화 - 빵과 장미 (2000년 영화)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빵과 장미》는 로스앤젤레스 청소부로 일하는 멕시코 이민자 마야가 노동조합 운동에 참여하며 이민자 사회 현실과 노동자 권익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 2000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오르고 테메큘라 밸리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랜드 앤 프리덤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켄 로치의 《랜드 앤 프리덤》 영화 포스터
켄 로치의 《랜드 앤 프리덤》 영화 포스터
원제Land and Freedom
감독켄 로치
제작레베카 오브라이언
각본짐 앨런
음악조지 펜턴
촬영배리 애크로이드
편집조너선 모리스
주연이언 하트
개봉일1995년 10월 6일
상영 시간109분
언어영어
스페인어
카탈루냐어
제작 국가영국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제작비
제작비약 2,500,000 파운드
배급
영국아티피셜 아이
스페인알타 필름
독일스푸트니크 필름
이탈리아콜롬비아 트라이스타 필름 이탈리아
프랑스디아파나 필름
흥행
흥행 수입228,800 달러

2. 줄거리

영화는 데이비드 카의 사망 후, 그의 손녀가 유품을 정리하며 발견한 편지와 기록들을 통해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1936년, 실업 상태였던 영국 공산당 당원 데이비드 카는 스페인 내전에서 인민 전선과 파시스트 간의 싸움을 알게 되고, 인민 전선을 지키기 위한 싸움에 몸을 던지기로 결심한다. 스페인에 밀입국한 데이비드는 기차 안에서 만난 '''베르나르 구존'''의 권유로 '''POUM'''(마르크스주의 통일 노동자당) 계열의 민병대에 지원한다. 아일랜드인 '''쿠건'''이 이끄는 부대에 배속된 데이비드는 전투 속에서 용감한 병사로 성장하지만, 어느 마을을 해방하는 전투에서 쿠건의 전사(戰死)를 목격한다. 데이비드는 자신에게 잘못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자책하지만, 쿠건의 연인인 '''블랑카'''는 쿠건의 전사 후에도 꿋꿋하게 행동한다. 그런 블랑카의 강인함에 데이비드는 점차 끌리게 된다.

그 무렵, 인민 전선 내부에서는 스탈린주의자들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민병대 내에서는 스탈린주의자들에게 동조하여 무기와 원군을 얻을 것인지, 지금까지와 같은 자유를 유지하기 위해 스탈린주의자들과 거리를 둘 것인지에 대한 의견이 대립했다. 무기와 규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로렌스'''는 스탈린주의자와의 협조를 설파하고, 데이비드도 한 번은 이에 찬성하지만, 결국 무기나 원군보다 자유를 선택한다. 그러나 총기 오발 사고로 데이비드는 부상을 입고, 바르셀로나에서 휴양하게 된다. 거기서 데이비드는 달려온 블랑카와 사랑에 빠지지만, 데이비드가 공산당원으로서의 의무감에서 스탈린주의자 계열의 국제 여단에 가담했다는 것을 알게 되자, 블랑카는 데이비드를 떠난다.

하지만 국제 여단에 참가한 데이비드가 목격한 것은 파시스트보다 인민 전선 내의 비(非)공산당계 세력 숙청에 혈안이 된 스탈린주의자들의 모습이었다. 어느 날, 스탈린주의자 장교들이 민병대들을 조롱하는 모습을 본 데이비드는 바르셀로나를 떠나, 과거 자신이 속했던 민병대로 돌아간다. 그러나 인민 전선 내에서 고립된 민병대에게 남겨진 것은 무기도 원군도 없는 절망적인 전투였다.

2. 1. 스페인 내전 참전

1936년, 리버풀 출신의 실업자이자 공산당원인 데이비드 카는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보수파 세력에 맞서 공화국을 수호하고자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기로 결심한다. 프랑스를 거쳐 스페인으로 향하던 중, 마르크스주의 통일 노동자당(POUM) 민병대에 합류하려는 사람들을 만나 POUM에 가담한다.

카는 아라곤 전선에서 POUM 민병대원으로 활동하며 프랑스인 베르나르, 아일랜드인 쿠건, 쿠건의 여자친구이자 POUM의 일원인 블랑카 등 다양한 국적의 동료들을 만난다. 특히 블랑카와 깊은 관계를 맺게 된다.

인민 전선 내부에서는 스탈린주의자들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민병대 내에서는 이들과의 협력 여부를 두고 의견이 대립했다. 데이비드는 한때 스탈린주의자들에게 찬성했지만, 결국 자유를 선택한다.

총기 오발 사고로 부상을 입은 데이비드는 바르셀로나에서 블랑카와 사랑에 빠지지만, 공산당원으로서의 의무감에 국제 여단에 가담하고, 이에 실망한 블랑카는 그를 떠난다.

국제 여단에서 데이비드는 파시스트보다 비공산당계 세력 숙청에 혈안이 된 스탈린주의자들의 모습을 목격하고, 결국 POUM 민병대로 돌아간다. 그러나 인민 전선 내에서 고립된 민병대는 절망적인 전투를 이어간다.

2. 2. 공화파 내부 갈등과 환멸

데이비드 카는 리버풀 출신의 젊은 실업자이자 영국 공산당 당원이었다. 1936년,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보수파 세력에 맞서 공화국을 수호하고자 스페인으로 간 그는, 프랑스를 거쳐 에스파냐로 가는 기차 안에서 마르크스주의자 통합 노동자당(POUM)(Workers' Party of Marxist Unification영어, Partido Obrero de Unificación Marxistaes, Partit Obrer d'Unificació Marxistaca) 민병대에 합류하려는 시민군들을 만나 POUM을 알게 되고, 그들을 따라 POUM 민병대에 가담한다. 아라곤 전선에서 그는 프랑스인 베르나르, 아일랜드인 쿠건, 그리고 쿠건의 여자친구이자 POUM의 일원인 블랑카 등과 같은 외국인 자원병들과 친구가 된다.

부상 후 바르셀로나에서 회복하던 데이비드는 블랑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원래 계획대로 소련의 지원을 받는 국제 여단에 합류한다. 그러나 그곳에서 POUM 회원 및 아나키스트에 대한 탄압을 목격하고 환멸을 느낀 데이비드는 스탈린주의 장교들이 민병대들을 조롱하는 모습을 보고 결국 다시 POUM 민병대로 돌아간다.

POUM 민병대는 공화파 내부 분열로 인해 고립된 상황이었다. 데이비드가 속한 민병대는 무기와 원군도 없이 절망적인 전투를 이어가던 중, 정부군과의 충돌에서 블랑카가 사망한다. 데이비드는 큰 상실감을 느끼고, 블랑카의 장례식 후 스페인 흙을 담은 붉은 스카프를 가지고 영국으로 돌아간다.

2. 3. 귀향과 회상

데이비드는 스페인의 흙을 담은 붉은 스카프를 가지고 영국으로 귀향한다.[6] 영화는 현재로 돌아와 데이비드의 장례식에서 그의 손녀가 윌리엄 모리스의 시 "다가오는 날"의 구절을 낭독하는 장면을 보여준다.[6]

''아무도 실패할 수 없는 전투에 참여하라,''


''왜냐하면 사라지고 죽는 자는 그의 행적이 여전히 우세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 후 그녀는 그의 무덤에 스페인 흙을 뿌리고 주먹을 쥔 경례를 한다.[6]

3. 등장인물


  • 이언 하트 - 데이비드 카: 영국 공산당원. 스페인 내전의 현실을 알고 인민 전선에 가담하기 위해 스페인으로 건너간다. 우연한 계기로 비(非) 스탈린주의적인 POUM에 참가하지만, 그 때문에 공산당의 공식 견해와 자유로운 POUM의 생각 중 어느 쪽을 믿어야 할지 고뇌한다.
  • 로사나 파스토르 - 블랑카: 데이비드가 속한 민병대 여성. 대장 쿠간의 연인이었지만, 쿠간의 죽음 후 데이비드와 사랑에 빠진다. 뿌리 깊은 비(非) 스탈린주의자로, 데이비드가 국제 여단에 입대하자 데이비드 곁을 떠났다. 스탈린주의자가 이끄는 부대에 의해 사살된다.
  • 프레데릭 피에로 - 베르나르 구종: 데이비드가 속한 민병대 병사. 열차 안에서 데이비드와 알게 되어, 그 뜻에 따라 POUM에 소개한다.
  • 톰 길로이 - 로렌스: 데이비드가 속한 민병대 병사. 인민 전선이 처한 입장과 무기 및 규율의 필요성에서 스탈린주의와 협조할 필요성을 설파하고 POUM을 떠난다. 후에 스탈린주의자가 이끄는 부대의 장교가 되어 데이비드들에게 무장 해제를 명령한다.
  • 마크 마르티네스 - 쿠간: 데이비드가 소속된 민병대 대장. 전(前) IRA. 대원들의 신망이 두텁고 용감한 병사였지만, 어느 마을을 해방하는 전투에서 데이비드와 언쟁을 벌이던 중 파시스트에게 사살된다.
  • 이시아르 볼라인 - 마이테
  • 마르크 마르티네스 - 후안 비달
  • 안드레스 알라드렌 - 민병대원
  • 세르지 카예하 - 민병대원
  • 라파엘 칸타토레 - 민병대원
  • 파스칼 데몰론 - 민병대원
  • 폴 러버티 - 민병대원
  • 수잔 매독 - 킴 (데이비드의 손녀)

3. 1. 주요 인물


  • 이언 하트 - 데이비드 카: 영국 공산당원으로,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여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한다.
  • 로사나 파스토르 - 블랑카: POUM 민병대원이자 데이비드의 연인으로, 강인하고 헌신적인 여성이다. 스탈린주의자가 이끄는 부대에 의해 사살된다.
  • 프레데릭 피에로 - 베르나르 구종: POUM 민병대원으로, 데이비드를 POUM에 소개한다.
  • 톰 길로이 - 로렌스: POUM 민병대원이었으나, 스탈린주의자와의 협력을 주장하며 국제여단으로 떠난다.
  • 마크 마르티네스 - 쿠건: POUM 민병대 대장으로, 전 IRA 대원이며, 전투 중 사망한다.
  • 이시아르 볼라인 - 마이테
  • 마르크 마르티네스 - 후안 비달
  • 안드레스 알라드렌 - 민병대원
  • 세르지 카예하 - 민병대원
  • 라파엘 칸타토레 - 민병대원
  • 파스칼 데몰론 - 민병대원
  • 폴 러버티 - 민병대원
  • 수잔 매독 - 킴 (데이비드의 손녀)

3. 2. 기타 인물


  • 이시아르 볼라인 - 마이테
  • 마르크 마르티네스 - 후안 비달
  • 안드레스 알라드렌 - 민병대원
  • 세르지 카예하 - 민병대원
  • 라파엘 칸타토레 - 민병대원
  • 파스칼 데몰론 - 민병대원
  • 폴 러버티 - 민병대원
  • 수잔 매독 - 킴 (데이비드의 손녀)

4. 주제

켄 로치에 따르면,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장면은 민병대에 의해 성공적으로 해방된 마을의 의사당에서 열리는 토론이다. 영화 촬영이 이루어진 실제 마을의 사람들이 농민 역할을 맡아 (언어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마을 토지와 최근 총살된 사제의 토지를 공동체화할지 여부에 대한 토론이 벌어진다. POUM 민병대에 소속된 미국인은 전쟁 노력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공동체화 및 기타 혁명적 행동이 그 노력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그러한 행동과 이에 수반되는 슬로건이 계속된다면 미국과 영국과 같은 강력한 자본주의 정권의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언급한다("당신은 그들을 겁주고 있다"고 그는 말한다). 동시대의 전쟁과 혁명의 필요성은 '독일에서는 혁명이 연기되었고 이제 히틀러가 권력을 잡았다'고 말하는 독일인 민병대에 의해 표현된다.[7] 결국 마을 사람들은 공동체화를 투표로 결정하여 극좌의 길을 걷게 된다. 아나키스트와 사회주의자가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토지 몰수가 흔했으며, 내전은 사회 혁명과 함께 진행되었다.[7]

위의 장면과 마찬가지로, 영화 전반에 걸쳐 스페인어, 영어, 카탈루냐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며, 선택적으로 자막이 사용된다. 카는 스페인어를 전혀 모르는 채 스페인에 도착하지만 점차 스페인어를 배우게 되는데, 다행히 그가 속한 민병대에서는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사회 혁명은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자와 자유주의 공화주의자 모두에 의해 반대되었고, 전쟁이 진행되면서 정부와 공산주의자들은 소련 무기에 대한 접근성을 활용하여 외교와 무력을 통해 전쟁 노력에 대한 정부 통제를 회복할 수 있었다. 역사적 사건인 바르셀로나의 Telefónica 건물을 통제하기 위한 공화주의자와 아나키스트 사이의 피비린내 나는 싸움은 로치에 의해 이 내부 갈등의 상징으로 선택되었다(바르셀로나 5월 사건 참조). 카의 환멸은 같은 편이어야 했던 두 그룹의 싸움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시작된다. 어느 시점에서 그는 바르셀로나의 공산당 본부를 경비하고, 맞은편 바리케이드 너머의 아나키스트들과 농담을 주고받는다. 그는 그들 중 한 맨체스터 출신에게 "왜 우리와 함께 있지 않느냐?"라고 묻는다. 그의 동료는 그에게 똑같은 질문을 했고, 카는 "모르겠어"라고 대답한다.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또 다른 중요한 순간은 파시스트 편을 든 혐의로 마을 사제가 처형되는 것이다. 그는 고해의 봉인을 깨고 파시스트에게 아나키스트가 숨어 있던 장소를 알려 그들의 죽음을 초래했다. 사제는 또한 소총을 쏴서 어깨에 멍이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대부분의 비평가와 시청자들은 이 영화에서 묘사된 이야기와 조지 오웰의 책 ''카탈로니아 찬가''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했는데, 이 책에서 저자는 POUM 민병대의 일부인 ILP 분견대의 자원 봉사자로서의 자신의 경험에 대한 전쟁의 가장 유명한 기록 중 하나를 썼다.

4. 1. 스페인 내전의 복잡성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장면 중 하나는 민병대에 의해 해방된 마을 의사당에서 열리는 토론이다. 이 토론에서는 마을 토지와 최근 총살된 사제의 토지를 공동체화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POUM 민병대 소속 미국인은 전쟁 노력이 우선이며 공동체화는 이를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행동이 서구 자본주의 정권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한다. '독일에서는 혁명이 연기되었고 히틀러가 권력을 잡았다'고 말하는 독일인 민병대원을 통해 전쟁과 혁명의 필요성이 표현된다.[7] 결국 마을 사람들은 공동체화를 결정한다.[7] 아나키스트와 사회주의자가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토지 몰수가 흔했으며, 내전은 사회 혁명과 함께 진행되었다.[7]

영화 전반에 걸쳐 스페인어, 영어, 카탈루냐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주인공 카는 스페인어를 모르는 채 스페인에 도착하지만, 점차 스페인어를 배우게 된다. 그가 속한 민병대에서는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사회 혁명은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자와 자유주의 공화주의자 모두에게 반대받았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정부와 공산주의자들은 소련 무기에 대한 접근성을 활용하여 전쟁 노력에 대한 정부 통제를 회복했다. 바르셀로나 5월 사건은 공화주의자와 아나키스트 사이의 피비린내 나는 싸움으로, 켄 로치는 이 내부 갈등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묘사했다. 카는 같은 편이어야 했던 두 그룹의 싸움을 이해하지 못하고 환멸을 느낀다. 그는 바르셀로나 공산당 본부를 경비하며 맞은편 바리케이드 너머의 아나키스트들과 농담을 주고받기도 한다.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또 다른 중요한 순간은 파시스트 편을 든 혐의로 마을 사제가 처형되는 장면이다. 그는 고해성사의 비밀을 깨고 파시스트에게 아나키스트 은신처를 알려 그들의 죽음을 초래했다.

대부분의 비평가와 시청자들은 이 영화에서 묘사된 이야기와 조지 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했다. 조지 오웰은 이 책에서 POUM 민병대의 일부인 ILP 분견대 자원 봉사자로서의 자신의 경험을 기록했다.

4. 2. 이상과 현실의 괴리

데이비드 카는 공산주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지만, 현실의 냉혹함과 정치적 배신을 경험하며 환멸을 느낀다.[7] 그는 민병대에 의해 해방된 마을 의사당에서 열린 토론에서 토지 공동체화 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인다. POUM 민병대 소속 미국인은 전쟁 노력이 우선이며, 공동체화는 미국, 영국 등 자본주의 정권의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독일인 민병대원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예를 들며 혁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결국 마을 사람들은 공동체화를 결정한다.[7]

영화에서는 스페인어, 영어, 카탈루냐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카는 스페인어를 모르는 채 스페인에 도착하지만, 점차 스페인어를 배우게 된다. 그가 속한 민병대에서는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7]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자와 자유주의 공화주의자들은 사회 혁명을 반대했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정부와 공산주의자들은 소련 무기에 대한 접근성을 활용하여 전쟁 노력에 대한 통제를 회복했다. 바르셀로나 5월 사건은 이러한 내부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카는 같은 편이어야 했던 두 그룹의 싸움을 이해하지 못하고 환멸을 느낀다. 그는 바르셀로나 공산당 본부를 경비하며 맞은편 바리케이드 너머의 아나키스트들과 농담을 주고받기도 한다.[7]

파시스트 편을 든 혐의로 처형된 마을 사제 이야기는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는 고해성사의 봉인을 깨고 파시스트에게 아나키스트의 은신처를 알려주어 그들의 죽음을 초래했다.[7]

이 영화에서 묘사된 이야기와 조지 오웰의 책 ''카탈로니아 찬가'' 사이의 유사성은 여러 비평가와 시청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7]

4. 3. 집단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영화는 데이비드 카의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스페인 내전의 역사적 진실을 재조명하고, 집단적 기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7] 특히, 스페인 내전 당시 POUM과 같은 비주류 세력의 목소리를 복원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켄 로치에 따르면,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장면은 민병대에 의해 성공적으로 해방된 마을의 의사당에서 열리는 토론이다. 영화 촬영이 이루어진 실제 마을의 사람들이 농민 역할을 맡아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마을 토지와 최근 총살된 사제의 토지를 공동체화할지 여부에 대한 토론이 벌어진다. POUM 민병대에 소속된 미국인은 전쟁 노력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공동체화 및 기타 혁명적 행동이 그 노력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마을 사람들은 공동체화를 투표로 결정하여 극좌의 길을 걷게 된다. 아나키스트와 사회주의자가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토지 몰수가 흔했으며, 내전은 사회 혁명과 함께 진행되었다.[7]

영화 전반에 걸쳐 스페인어, 영어, 카탈루냐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며, 선택적으로 자막이 사용된다. 카는 스페인어를 전혀 모르는 채 스페인에 도착하지만 점차 스페인어를 배우게 된다.

사회 혁명은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자와 자유주의 공화주의자 모두에 의해 반대되었고, 전쟁이 진행되면서 정부와 공산주의자들은 소련 무기에 대한 접근성을 활용하여 외교와 무력을 통해 전쟁 노력에 대한 정부 통제를 회복할 수 있었다. 카의 환멸은 같은 편이어야 했던 두 그룹의 싸움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시작된다.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또 다른 중요한 순간은 파시스트 편을 든 혐의로 마을 사제가 처형되는 것이다. 그는 고해의 봉인을 깨고 파시스트에게 아나키스트가 숨어 있던 장소를 알려 그들의 죽음을 초래했다.

대부분의 비평가와 시청자들은 이 영화에서 묘사된 이야기와 조지 오웰의 책 ''카탈로니아 찬가''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했는데, 이 책에서 저자는 POUM 민병대의 일부인 ILP 분견대의 자원 봉사자로서의 자신의 경험에 대한 전쟁의 가장 유명한 기록 중 하나를 썼다.

5. 역사적 배경

5. 1. 스페인 내전 (1936-1939)

5. 2. 공화파 내부 분열

6. 영화 제작

7. 평가 및 영향

''랜드 앤 프리덤''은 스페인 내전의 복잡성과 이념 갈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9][10] 켄 로치 감독의 연출력과 배우들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9] SF 게이트(SF Gate)에 기고한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The San Francisco Examiner)의 영화 평론가 데이비드 암스트롱은 "영국 베테랑 감독 켄 로치는 이제는 거의 빛을 잃었고 부당하게 사라진 전통인 유럽 사회 현실주의의 영역에서 계속해서 활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9] 필립 프렌치는 ''옵저버(The Observer)''에 "그의 오랜 협력자인 짐 앨런이 각본을 쓴 로치의 영화는 본능적이고 감정적이며 지적인 경험이며, 이 시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다"라고 썼다.[10]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과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수상
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칸 영화제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켄 로치수상
칸 영화제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켄 로치수상
칸 영화제황금종려상켄 로치후보
유러피언 영화상최우수 작품상켄 로치수상
세자르 영화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켄 로치수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최우수 영국 영화상켄 로치 & 레베카 오브라이언후보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실버 콘도르상켄 로치후보
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켄 로치수상
나스트로 디 아르젠토최우수 외국어 감독상켄 로치후보
상 조르디 상최우수 스페인 영화상켄 로치수상



영화가 스탈린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역사적 균형을 잃었다는 비판과 일부 장면의 과도한 폭력성과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지적도 존재한다.

이 영화는 이념 갈등으로 인한 비극적인 역사를 보여주며, 한국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성찰하게 한다.[9][10]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중도진보 성향의 관점에서는,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권위주의적 세력에 대한 경계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7. 1. 긍정적 평가

''랜드 앤 프리덤''은 스페인 내전의 복잡성과 이념 갈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9][10] 켄 로치 감독의 연출력과 배우들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9] SF 게이트(SF Gate)에 기고한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The San Francisco Examiner)의 영화 평론가 데이비드 암스트롱은 "영국 베테랑 감독 켄 로치는 이제는 거의 빛을 잃었고 부당하게 사라진 전통인 유럽 사회 현실주의의 영역에서 계속해서 활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9] 필립 프렌치는 ''옵저버(The Observer)''에 "그의 오랜 협력자인 짐 앨런이 각본을 쓴 로치의 영화는 본능적이고 감정적이며 지적인 경험이며, 이 시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다"라고 썼다.[10]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과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수상
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칸 영화제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켄 로치
칸 영화제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켄 로치
칸 영화제황금종려상켄 로치
유러피언 영화상최우수 작품상켄 로치
세자르 영화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켄 로치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최우수 영국 영화상켄 로치 & 레베카 오브라이언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실버 콘도르상켄 로치
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켄 로치
나스트로 디 아르젠토최우수 외국어 감독상켄 로치
상 조르디 상최우수 스페인 영화상켄 로치


7. 2. 비판적 평가

토마토 지수 웹사이트는 의 긍정적인 평가를, 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의 평균 평점을 기록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기준.[8]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의 영화 평론가 데이비드 암스트롱은 SF 게이트에 "영국 베테랑 감독 켄 로치는 이제는 거의 빛을 잃었고 부당하게 사라진 전통인 유럽 사회 현실주의의 영역에서 계속해서 활동하고 있다. 일상생활의 거친 면, 정치 지도자들의 냉소적인 은밀함, 그리고 큰 꿈을 가진 작은 사람들의 고귀함을 강조하는 거의 다큐멘터리적인 스타일로 작업하면서, 로치는 평범하지 않은 진지함과 진정성을 가진 장편 영화를 만든다"고 말했다.[9]

필립 프렌치는 ''옵저버''에 "그의 오랜 협력자인 짐 앨런이 각본을 쓴 로치의 영화는 본능적이고 감정적이며 지적인 경험이며, 이 시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다"라고 썼다.[10]

영화가 스탈린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역사적 균형을 잃었다는 비판과 일부 장면의 과도한 폭력성과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지적도 존재한다.

7. 3.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이 영화는 이념 갈등으로 인한 비극적인 역사를 보여주며, 한국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성찰하게 한다.[9][10]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중도진보 성향의 관점에서는,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권위주의적 세력에 대한 경계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보수 성향의 관점에서는, 좌익 세력 내부의 권력 투쟁과 폭력성을 보여주며, 극단적인 이념 대립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8. KBS 성우진 (1999년 6월 13일)

9. 사운드트랙

아 라스 바리카다스는 전국 노동 연합이 제공하였다. 인터내셔널은 피에르 드 게이터가 작사하였다. 아 라스 무헤레스/라모나는 메이블 웨인이 작곡하고 L. 울프 길버트가 작사하였다. 나에게 편지를 써준다면은 후안 이그나시오 콰드라도 부에노가 작사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Film #253: Land and Freedom http://lumiere.obs.c[...] 2021-05-22
[2] 웹사이트 Land and Freedom https://www.filmport[...] 2021-09-10
[3] 뉴스 MOVIES : Low Budget, High Ideals : Ken Loach makes striking films with politically timely themes on a far-from-Hollywood budget. But can 'Land and Freedom' expand his U.S. fan club beyond cinephiles and other directors?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6-03-31
[4] 문서 Tierra y Libertad (disambiguation)
[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Land and Freedom http://www.festival-[...] 2009-09-04
[6] 웹사이트 Chants for Socialists by William Morris – 1. The Day is Coming http://www.marxists.[...]
[7] 웹사이트 The Spanish Civil War 1936-1939 http://www.historyto[...] History Today 2014-03-27
[8] 웹사이트 Land and Freedom (1995)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RT data|access date}}
[9] 뉴스 Land and Freedom': Unique Story of War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1996-04-19
[10] 뉴스 Idealism and illusions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1995-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